본문 바로가기

회사관련 모든글

(17)
jsp, servlet간의 forward에 대하여(중요) 서블릿의 forward에 크게 4가지가 있는 것이다(redirect, dispatch, Refresh, location)Scriptlet이란? JSP에서 HTML코드안에 들어가는 형식의 자바코드 Scriptlet의 주요 특징Java 코드 삽입: Scriptlet은 HTML 문서 내에 Java 코드를 삽입할 수 있게 해줍니다.동적 페이지 생성: 페이지가 요청될 때마다 서버에서 Scriptlet 코드가 실행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합니다.서버 측 처리: Scriptlet 내의 코드는 서버에서 실행되며, 최종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는 것은 HTML만 있습니다. 왜 JSP코드에서는 (Scriptlet안의)Java코드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을까?   https://starkying.tistory..
톰켓 기본적 폴더 구조, url호출에 의한 페이지 호출 방식 메모 톰켓 기본적 폴더 구조기본적으로 webapps폴더 밑에는 dynamic폴더와 static폴더가 있다 dynammic폴더안에 WEB-INF폴더가 있고 디렉토리에서 보면 이 WEB-INF안에 classes, lib, source폴더가 있다. 하지만 이클립스의 Project Explorer에서 보면 classes파일은 보이지 않는다. source폴더안에는 내가 만들고자 하는 servlet이 들어간다. 즉 servlet을 만들고자 할때는 이 sources폴더 안에 클래스를 만들면 된다. url호출에 의한 페이지 호출 방식 메모http://flexyduck.irt.co.kr:8080/trunk/servlet/PostWithHTML (일반적, 직접적으로 톰켓으로 요청함)https://flexyduck.irt.co...
아파치의 Document root(홈)와 톰켓의 Context root(홈)에 대하여 아파치의 경우 아래와 같이 conf폴더의 httpd.conf파일에 DocumentRoot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이 있다.그리고 이러한 httpd.conf문서에서 Document root는 Alias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톰켓의 경우 회사의 프로젝트 같은 경우 이클립스의 Tomcat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있다. 톰켓의 context들이 모여있는 곳이 기본적으로 아래의 webapps폴더이다.dynamic, static, tools각각이 하나의 context임. server.xml을 보면 아래와 같은 코드가 보이는데 이것이 바로 특정위치(trunk)를 context홈으로 지정해 주는 설정이다. 즉 trunk는 context홈 이자 프로젝트 이름인 것이다.  또한 이클립스의 설정상 다음..
Apache 80, 443 port 사용에 대하여 Apache HTTP Server에서 80 포트와 443 포트는 각각 HTTP와 HTTPS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두 포트는 웹 서버의 기본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포트로, 각각의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1. 포트 80 (HTTP)**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기본적인 웹 브라우징 프로토콜입니다.포트 80은 비암호화된 HTTP 요청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http://로 시작하는 URL로 접속할 때, Apache 서버는 기본적으로 포트 80을 사용하여 요청을 처리합니다.예: http://www.example.com (포트 80)언제 사용되나?웹 페이지가 암호화되지 않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근할 때, Apache는..
Apache서버 설정파일인 conf에서 쓰이는 용어 해석 httpd.conf에서 httpd는 http daemon을 의미하여 HTT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서버 프로세스이다. httpd.conf는 이 서버의 설정 파일로, Apache HTTP Server의 동작 방식과 설정을 정의합니다.Daemon: Unix-like 운영 체제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주로 서버 또는 서비스로서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가리킵니다.Apache24의 설정파일안의 mod_jk.conf라는 파일안의 내용 중  JkMount /*/servlet/* tomcat9 의 해석:Apache HTTP Server의 mod_jk 모듈을 사용하는 mod_jk.conf 파일 내에 있는 JkMount /*/servlet/* tomcat9 설정은 Apache와 Tomcat 서버 간의..
Tomcat 8080, 8009포트 이용에 관하여 결론.  Tomcat 서버에서 포트 8080과 8009는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 두 포트는 각각 HTTP 요청 처리와 AJP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1. 포트 8080 (HTTP 요청 처리)포트 8080은 기본적으로 HTTP/1.1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와의 웹 통신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용도: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HTTP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상황: 웹 브라우저가 http://localhost:8080처럼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Tomcat 서버에 접근할 때 사용됩니다.Connector 설정: Connector URIEncoding="UTF-8" connectionTimeout="20000" maxHttpHeaderSize="30000" maxParamete..
아파치 설정 관련한 실행 파일경로 불일치 오류 수정 윈도우 검색창에 "서비스"로 검색한후 리스트들 중에서 "Apache2.4"를 더블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실행파일경로 를 알수 있는 창이 뜬다. 여기 이 실행파일경로가 일치하지 않아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불일치를 바꾸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https://itwarehouses.tistory.com/14
Mod_jk에 대하여(Apache와 Tomcat을 연동시켜 주는 모듈), Mod_jk와 AJP의 비교. https://deftkang.tistory.com/65 https://blog.naver.com/tawoo0/221587063882    (아래를 보면 코딩으로 설정을 하였는데 이것 따라해 보기)  mod_jk란? Module_jk의 준말이다(그래서 modules폴더에 mod_jk.so.를 설치하고 conf(configuration)폴더에 mod_jk를 실행시켜주는 일꾼인 worker과 mod_jk.conf를 작성하여 설정코드를 작성해 준 것이다) 아파치와 톰켓을 연동하기 위한 모듈로 AJP프로토콜을 통하여 아파치로 들어온 요청중 톰켓이 처리할 요청을 AJP포트(일반적으로 8009)를  통해 톰켓에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받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 AJP와 mod_jk의 차이점mod_jk와 A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