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01)
Git 브랜치란 무엇인가 출처: https://git-scm.com/book/ko/v2/Git-%EB%B8%8C%EB%9E%9C%EC%B9%98-%EB%B8%8C%EB%9E%9C%EC%B9%98%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ch03-git-branching 이전에 몇시간 고민한 질의를 시작으로 글을 시작하려한다. 선생님들 깃에 관해 하나만 물어볼께요. 1)remote에서 하나의 저장소에 A라는 하나의 브랜치만 있었습니다. 그리고 같은 저장소에 B 라는 브랜치를 하나더 추가하고 그 브랜치에는 폴더를 하나 추가해 주었습니다. 이것을 로컬에서 A브랜치도 pull하고 B브랜치도 pull하였습니다. 그랬더니 로컬저장소에는 그 B에만추가된 폴더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즉, 로컬 저장소는..
2.2 Git의 기초 - 수정하고 저장소에 저장하기 출처: https://git-scm.com/book/ko/v2/Git%EC%9D%98-%EA%B8%B0%EC%B4%88-%EC%88%98%EC%A0%95%ED%95%98%EA%B3%A0-%EC%A0%80%EC%9E%A5%EC%86%8C%EC%97%90-%EC%A0%80%EC%9E%A5%ED%95%98%EA%B8%B0 용어정리 스냅샷: 사진을 찍듯이 특정 시간(시점)에 데이터 저장 장치(스토리지)의 파일 시스템을 포착해 별도의 파일이나 이미지로 저장, 보관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그래서 스냅샷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면 유실된 데이터 복원과 일정 시점의 상태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Windows OS의 복원 지점과 같이 장애나 데이터 손상 시 스냅샷을 생성한 시점으로 데이터 복구..
깃 초기 설정에서 필요한 명령어들과 알고리즘 포스팅을 위한 과정설명(중요) cmd에서 숨어있는 폳더까지 모두 보는 명령어 dir -ah 출처: https://m.blog.naver.com/jed00/140188844895 초기설정: 폴더를 새로만든후 git init으로 git이 감시하는 대상의 폴더로 만든후 remote에 있는 branch들을 불러오려고 한다. 이럴 때 쓰는 명령어가 git remote update 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기 이전에는 아무리 git checkout + 원격에있는브랜치 이름 을 해봐도 응답이 없다. 하지만git remote update를 하면 원격의 branch들이 update되면서 git checkout +원격에 있는 브랜치 이름 으로 로컬에 있는 branch와 원격의 branch를 일치 시킬수 있다. 이제 알고리즘 문제를 깃에 포스팅할텐데 크..
깃 오류 fatal: pathspec '2002.txt' did not match any files 해당 파일이 없다는 오류로 단순히 디렉토리가 맞지 않게 설정되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cd키워드로 디랙토리를 이동하자
[Git] !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 해결 방법 해결책은 브랜치앞에 +를 붙여주는 것이다. 출처:https://somjang.tistory.com/entry/Git-rejected-master-master-non-fast-forward-%ED%95%B4%EA%B2%B0-%EB%B0%A9%EB%B2%95
깃오류fatal: detected dubious ownership in repository at~~ 인터넷에 몇가지 해결책이 있지만 나한테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나는 이 오류를 단순히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으로 했더니 해결되었다.
깃이란? Git: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백업, 복구, 협업이 주된 사용 이유) 해당폴더(git장인)에서 코드짜고 파일 만드는 것 모두를 검사합니다. 이 명령어로 해당폴더에서는 이제부터 깃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git add + 파일명(확장자포함) 이 명령어를 통해서 파일을 영구적으로 기록하게 된것임. 그래서 나중에 이 상태로 되돌리거나 "아~몇월 몇일에 이런 코드를 짯었지?" 하며 조회도 할수 있는 것! 이 기록을 다른 말로 '버전 생성'이라고도 부릅니다. 왜 굳이 2개의 명령어로 하지? 하나로 하지 않고? 어떠한 폴더안의 파일은 굳이 버전관리를 하지 않아도 됨. 예를들면 사진 파일같은거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버전관리를 할 필요도 없어. 따라서 사진과같은 파일도 함께있는 폴더안의 특정파일, 내가 버..
Full stack의 마인드 출처: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281/ 읽으면서 모든 내용이 공감이 갔지만 가장 나와 공감되고 내맘을 떨리게 한 문구는 아래의 것이다. "나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기술을 활용해서 사람들이 실제 사용하는 서비스를 혼자서 만들 것이다." 풀스택 개발자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나와는 거리가 멀어. 하나도 하기 벅찬데 풀스택? 그렇게까지 하고 싶지 않아. 특별한 사람만 가능한 거야 그냥 하나라도 잘하자.’ 이런 생각을 한 번이라도 하셨다면 이 글을 정말 잘 클릭하셨습니다. 지금부터 말씀드릴 제 풀스택 개발 경험이 어쩌면 당신의 개발자 인생을 완전히 바꿔 놓을 수도 있거든요 :) 풀스택 개발 왜 해야 하는데요? 본격적인 얘기를 하기 전에,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