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01)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켓통신이란? 출처: https://helloworld-88.tistory.com/215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3jQ2dBpiqPo (내생각: 소켓이란 다른 계층, 다른 영역으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인터페이스. 네트워크에서 소켓이란 AL계층의 데이터를 TL계층으로 보내기 위한 인터페이스. 아래 영상에서 파일이라고 하는 것은 메시지를 전송받는 대상임. 즉 방금말한 다른영역이 파일임. 다른영역이 TCP가 되면 그 파일을 TCP Socket이라고 부르는 것임. 즉 소켓은 다른영역인 TCP로 데이터를 어떻게 보내는지 설명해 놓은 인터페이스가 설명되어 있는 인터페이스파일임(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것을 소켓 라이브러리라고 하는 것같음). 소켓프로그래밍이란? TCP라는 대상에 데이터를 보..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worker.org.gradle.process.internal.worker.GradleWorkerMain 출처: https://warmth424.tistory.com/9 아랫글 보기전에 간단한 내 해결방법부터 해보기로 한다. file->Settings->Grale의 밑줄친 부분을 모두 IntellijJ IDEA로 수정했더니 해결됨.Gradle을 통하지 않고 실행하는 설정같음. 위 방법으로 해서 안될때. 해결책 2. https://warmth424.tistory.com/9 롬복(lombok)이란 출처: https://mangkyu.tistory.com/78 Java 언어를 이용해 개발을 하다 보면 기계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코드들이 상당히 많다. 이번에는 기계적인 코드 작성을 자동화하여 코드 다이어트를 해주는 Java 필수 라이브러리 Lombo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롬복이란?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코드를 자동완성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Lombok을 이용하면 Getter, Setter, Equlas, ToString 등과 다양한 방면의 코드를 자동완성 시킬 수 있다. Spring AOP가 프록시 객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이유 참고: https://velog.io/@max9106/Spring-%ED%94%84%EB%A1%9D%EC%8B%9C-AOP-xwk5zy57ee (복습. Spring AOP(관점지향 프로그래밍)란? 공통관심사와 핵심 관심사를 분리하여 프로그래밍하도록 공통 관심사만을 편리하게 구현하도록 어노테이션, 라이브러리등을 제공함) 프록시 객체란? 프록시 객체는 원본 객체를 대신해서 호출될 객체로, 원본 객체를 감싸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중간 단계에 위치합니다. 프록시 객체는 원본 객체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어서, 클라이언트는 프록시 객체를 호출하는 것으로 인해 원본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프록시 객체를 통해 원본 객체에 대한 접.. Spring AOP와 관련 어노테이션 출처: https://pamyferret.tistory.com/51 개발을 하다보면 특정 패턴을 가진 메소드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적용해줘야하는 기능이 있다. 제일 대표적인게 바로 로그 기록이 있는데, 이와 같은 기능을 특정 패턴을 가진 메소드에 넣기 위해서는 로그를 기록하는 공통 Util 메소드를 생성하고 해당 Util 메소드를 특정 패턴을 가진 메소드에 일일이 넣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수동으로 공통 기능을 넣어줄 경우 추후 코드를 수정할 곳이 많아진다거나 어디에 Util 메소드를 넣었는지 찾기가 힘들어 유지보수가 힘들어진다. 위와 같이 특정 패턴을 가진 메소드에 공통되는 위치(실행 전, 실행 후)에 있는 공통되는 기능을 횡단 관심사(공통 관심사)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횡단 관심사를.. [Spring] 순환 참조(Circular References) 해결하기 인용: https://velog.io/@platinouss/Spring-Circular-References-%ED%95%B4%EA%B2%B0%ED%95%98%EA%B8%B0 내가 아래글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Configuration 역시 @Component의 일종으로 컴포넌트 스캔시 빈 컨테이너에 포함된다는 것이다. 또한 아래와 같은 코드 구조에서 SecurityConfig를 빈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authenticationProcider가 빈객체에 미리 존재하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Configuration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ecurityConfig extends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 private fina.. 백준(BOJ) 1865: 웜홀 #bellman https://www.acmicpc.net/problem/1865 (복습. 벨만포드: 음의주기가 있을때도 최단거리를 구할수 있고 음의주기가 있다면 판별할 수 있다. n번 반복하여 매번 모든 간선에 대해 dsit를 갱신한다. n-1번째에 dist가 갱신된다면 그것은 음의 주기가 있다는 것이다) 출발했던 지점으로 다시 돌아왔을때 시간이 되돌아간(시간이 줄어든)경우가 있는지를 묻고 있다. 기본적으로 벨만포드는 음의주기가 있을때를 포함하여 한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그런 알고리즘이 이러한 출발정점으로 되돌아 왔을 경우에 별다른 코드 변경없이 쓰일수 있다는 것이다(물론 시간초과를 해결하기 위한 boolean변수는 필요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문제에서는.. jdbcTemplate의 RowMapper<T>인터페이스에 대해서! https://u-it.tistory.com/32 query( )메서드를 실행하면 첫번째 인자로 받은 SQL쿼리 문이 실행되고 그 결과(ResultSet과 갯수(rowNum))가 2번째 인자인 메서드를 호출했을때 생성되는 객체의 메서드인 mapRow의 인자로 전달된다(memberRowMapper()메서드가 실행된다는 것은 mapRow메서드를 구현한 익명객체가 생성된다는 말임. 다시말해 이 메서드는 익명클래스 RowMapper를 구현하는 익명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한다는 뜻임). ResultSet과 쿼리에 결과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갯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그 결과는 컬랙션클래스로 반환된다. query의 3번째인자는 1번째 SQL쿼리의 ? 자리에 바인딩된다. 위에서는 name이 알아보기 쉽게 사용되었다..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