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59)
Postman 요청 사용방법 정리 KimsBoard(4000)회원가입 요청KimsBoard(4000)로그인 요청 KimsBoard(4000)로그인 유저정보 받아오기 요청(오른쪽 Documentation에서 설명 볼수 있음): 로그인하여 얻어온 토큰 값 Authorization 탭의 Bearer Token타입으로 설명하고 Token값 입력 KimsBoard(4000)파일업로드 요청 : 기본적으로 로그인하여 토큰값을 가지고 있고 Authorization 탭에서 Bearer Token으로 설정하고 토큰값을 입력해 놓아야 한다.  아래와 같이 Body에는 form-data로 선택하여 업로드 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해 준다.  KimsBoard(4000)서버로부터 파일 가져오기(GET): 기본적으로 파일을 upload했을시에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PathVariable, @RequestParam 에 대하여 출처: https://woogienote.tistory.com/104출처: https://ittrue.tistory.com/243@PathVariable이란? @RequestParam 이란?@RequestParam스프링은 HTTP 요청 파라미터를 @RequestParam으로 받을 수 있다.@RequestParam은 파라미터 이름으로 바인딩하는 방법이다.스프링이 제공하는 @RequestParam을 사용하면 요청 파라미터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만약 요청 파라미터에 username과 age가 있다고 가정한다. 예전 방식@RequestMapping("/save")public ModelAndView sav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
@Requestbody, @ResponseBody에 대하여 출처: https://cheershennah.tistory.com/179@RequestBody 어노테이션과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이 각각 HTTP요청 바디를 자바객체로 변환하고 자바객체를 다시 HTTP 응답 바디로 변환해준다. 요청 본문(request body)에 담긴 값을 자바객체로 변환. @RequestBody를 통해서 자바객체로 conversion을 하는데, 이때 HttpMessageConverter를 사용한다. @ResponseBody 가 붙은 파라미터에는 HTTP 요청의 분문 body 부분이 그대로 전달된다.RequestMappingHandlerAdpter 에는 HttpMessageConverter 타입의 메세지 변환기가 여러개 등록되어 있다.  @RequestBody 이 어노테이션..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 출처: https://velog.io/@dyunge_100/Spring-Controller%EC%99%80-RestController%EC%9D%98-%EC%B0%A8%EC%9D%B4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둘 다 Spring에서 Controller를 지정해주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전통적인 Spring MVC의 Controller인 @Controller와 RESTful 웹 서비스의 Controller인 @RestController의 주요한 차이점은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이다.@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은 말 그대로 @Controller와 @ResponseBody가 합쳐진 어노테이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Controller와 다르게 반환하려는 주..
타입스크립에서의 props 타입스크립트를 쓰지 않으면 propTypes라는 패키지를 다운 받아서  Menu.propTypes ={ }  형식으로 해주면 되지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그냥 propTypes다운 받을 필요없이 interface Props{ } 를 쓰면됨.  기본적으로 propTypes는 타입을 확인하여 오류를 줄여주기 위해 사용한다. 즉, PropTypes는 부모로부터 전달받은 prop의 데이터 type을 검사한다. 자식 컴포넌트에서 명시해 놓은 데이터 타입과 부모로부터 넘겨받은 데이터 타입이 일치하지 않으면 콘솔에 에러 경고문이 띄워진다.관련글: https://velog.io/@eunjin/React-PropTypes-%EC%93%B0%EB%8A%94-%EC%9D%B4%EC%9C%A0-%EB%B0%A9%EB%B2%95 ..
서버로 부터 Validation failed에러를 받았다(front와 Back단 연결시 매우중요!!!). 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정말 많이 배웠다. JPA의 구현체인 Hibernate는 카멜로 선언된건 알아서 스네이크명명으로된 컬럼 매핑해 주어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 컬럼을 기본적으로 스네이크로 사용하는게 정신건강상 이롭다는 것!! 그리고 원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아래와 같다.
전역변수 관리하는 프론트엔드 쪽의 라이브러리 사용시 주의점!!!!! 이것때문에 정말 몇시간을 그냥 날렸다... 나는 지금 ZustAnd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는데, 당연히 프론트 엔드쪽의 변수를 관리하는 것이므로 프론트 엔드파일안에 있는, 전역적으로 관리하는 변수의 이름에만 신경을 썼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안된다. 벡단에서 넘어오는 변수를 프론트쪽에서 관리하는 것이므로 그 전역변수의 이름은 벡단에서 사용하던 이름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래서 벡단과 다른 이름이지만 의미는 같은 그 변수명을 사용하면 당연히 에러가 나지 않지만 해당값이 없다고 읽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바로바로...  따라서!!! 즉!! 해결책은 백단의 DTO객체의 맴버변수 이름과 프론트에서 전역적으로 관리하는 변수의 이름을 같게 해주어야 한다!!!
Bearer토근과 JWT혼동 정리 참고: https://overcome-the-limits.tistory.com/741요약: 일반적으로 토큰은 요청 헤더의 Authorization 필드에 담아 보내짐. Bearer는 에 해당함. 토큰에는 많은 종류가 있고 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토큰을 처리하기 위해 전송받은 type에 따라 토큰을 다르게 처리함.Bearer타입에는 JWT, OAuth가 존재함.  ex)' Bearer 토큰으로 JWT를 사용합니다' 라고 표현함